다리 통증
엉덩이에서 허벅지, 다리까지 이르는 통증과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통증들을 야기시키는 대표적인 질병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
엉덩이에서 다리까지 저림 및 통증이 느껴지고 장시간 앉아 있을 수 없다면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추간판은 척추를 연결하고 충격 흡수를 위한 쿠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일부가 원래 위치에서 빠져나오면 신경을 압박하고 증상을 유발합니다. 원인은 노화로 인한 추간판의 기형이나 평상시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움직이거나 일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와 수술 요법이 있는데, 먼저 약물 치료의 경우 통증이 심할 때 항염증제, 신경 차단 주사 등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골격계 재활을 통해 허리에 부담을 주지 않는 자세를 습득하여 증상을 개선하고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약물 및 보존적 치료를 받더라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외과적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요추 척추관 협착증
잠시 걷고 나면 다리가 아프거나 엉덩이에서 다리까지 무감각하다면 요추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척추관은 척수의 신경이 척추, 추간판 (척추를 연결하는 쿠션), 관절 등을 통과하는 터널입니다. 척추의 변형, 추간판의 기형, 인대의 두꺼워 짐으로 인해 터널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고 신경의 혈류를 감소시킵니다. 주로 노화, 노동, 척추 질환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에서는 신경 차단 주사와 같은 경구 약물과 신경 순환 및 코르셋을 개선하는 약물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골격계 재활을 통해 척추관을 넓히는 자세를 배우고 일상생활 활동 시의 주의점을 습득하여 증상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가 증상을 개선하지 못하거나, 일상생활이 힘든 경우, 양쪽 다리에 증상이 있는 경우 외과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좌골 신경통
엉덩이에서 다리까지 무감각하다면 좌골 신경통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좌골 신경은 엉덩이에서 허벅지까지 이어지는 신경으로 허리에서 분리되어 나옵니다. 이 신경이 어떤 이유로든 압박되면 허벅지 뒤쪽에서 허벅지 바깥쪽까지 통증을 유발합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 척추관 협착증, 요추 척추전방전위증, 꼬리말 종양 등 좌골 신경통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질병이 있습니다. 또한 좌골 신경통과 유사한 증상조차도 자궁 근종이나 고관절 골관절염으로 인한 관절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좌골 신경통을 유발하는 여러 질병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종양 및 화농성 질병입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 및 요추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수술 이외의 치료에는 물리치료, 코르셋, 신경 차단 및 척수 신경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약물이 포함됩니다. 또한 진단 없이 오랫동안 마사지와 주사만으로 치료를 한다면 만성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증상이 느껴진다면 즉시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관절 골관절염
걷거나 일어설 때 사타구니가 아프거나 신발이나 양말을 신기가 어렵다면 고관절 골관절염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주요 원인은 선천성 고관절 탈구의 후유증, 고관절의 저형성 및 외상입니다. 첫째, 연골이 마모되기 시작하고 마지막으로 뼈 기형이 생깁니다. 주요 증상은 걸을 때 사타구니의 통증입니다.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기형이 발생하고 고관절의 움직임도 제한되어 신발을 신는 자세를 취하면 고통이 느껴집니다. 또한 가까운 친척이 선천성 고관절 탈구 또는 고관절 질환이 있는 경우 고관절 이형성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에는 체중 조절, 지팡이 사용, 보행 조정, 물리 치료와 같은 고관절 주변의 근력 운동이 포함됩니다.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도 효과적이지만 진통제에 의존하여 장거리를 걷거나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장기간 생활을 하면 관절 파괴가 가속화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만약 보존적 치료로 상태가 완화되지 않으면 외과적 치료를 선택하고, 상태에 따라 기형이 심한 경우 고관절 성형술이나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